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년도 어르신도 함께!전국 14곳에 1,786가구 공급되는 맞춤형 특화주택 완전 정리

by wan4411 2025. 8. 7.

청년도 어르신도 함께! 전국 14곳에 1,786가구 공급되는 맞춤형 특화주택 완전 정리

국토교통부는 2025년 상반기 특화 공공임대주택 공모사업을 통해, 전국 14곳에 총 1,786가구를 공급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 사업은 청년·고령자 등 사회적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특화주택으로, 단순 임대주택을 넘어 돌봄·공유·일자리 연계 시설을 갖춘 복합 공간으로 설계되었습니다

 

특화주택이란? 왜 도입되었나

🎯 주요 목적과 설계 방향
특정 수요자(청년, 고령자, 신혼부부 등)를 중심으로 설계된 맞춤형 공공임대주택

주거 공간뿐 아니라 사회복지시설, 돌봄 공간, 공유오피스 등 기능 결합

특히 지난해 도입된 ‘지역제안형’ 유형은 지자체가 입주 요건과 시설 구성을 직접 설계해 지역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한

혁신 모델입니다

전체 유형별 공급 현황 (총 1,786가구)
유형 공급지 수 공급 가구수 주요 대상 및 특징
지역제안형 특화주택 4곳 1,083 지자체 설계 중심, 중산층 포함
고령자 복지주택 4곳 368 65세 이상, 복지시설 연계
청년 특화주택 3곳 176 공유시설·저렴 임대 중심
일자리 연계형 주택 3곳 159 직주근접, 창업지원 포함

※ 총 공급 규모는 국토부 발표 기준 1,786가구

 

 

지역별 특화주택 현황 및 특징

지역제안형 특화주택 (1,083가구)
경기 부천 대장지구: 741가구 규모의 ‘세대통합형’ 주택. 부모세대와 자녀세대가 동일 단지에 거주하며 세대 간 돌봄을 연계할 수 있는 최초 사례. 중산층(중위소득 200% 이하)까지 대상 포함되며, 복합용지 개발과 함께 주거·상업·공공시설이 결합

경기 동두천: 지행역 인근에 210가구. 청년·신혼부부 대상, 인구 유출 방지 목적.

경기 포천: 원거리 근무하는 군무원 대상, 32가구.

강원 삼척: 탄광 근로자·강원대 도계캠퍼스 학생 대상, 100가구. 멘토링·심리상담 등 프로그램 연계

고령자 복지주택 (368가구)
울산 2곳(214가구), 부천(100가구), 제주 서귀포(54가구) 등.

65세 이상 무주택 고령자 대상, 안전손잡이, 무장애 구조, 사회복지시설 연계 등 고령자 맞춤형 설계

청년 특화주택 (176가구)
울산 울주군(36가구), 전북 고창(40가구), 부안(100가구).

저렴 임대료 기반, 공유주방·거실·계절창고 등 청년 선호 특화 시설.

청년 유입 유도 및 지역 활성화 목표

일자리 연계형 지원주택 (159가구)
경기 광명(123가구, 광명시흥 일반산단 인근), 울산 울주(36가구, 온산국가산단 근로자 대상).

직주근접형 설계, 공유오피스·창업센터 포함, 근로자 자립지원 중심

 

 

 

 

 

 

 

 

수요자별 주요 혜택과 특징

🧑 청년층
저렴한 임대료, 커뮤니티 중심 공유시설 제공

지역 정착 유도 기능 강화 (고창·부안, 울산 등)

청년층 고립 완화 및 창업·일자리 연계 지원

👵 고령자
무장애 구조, 편의시설(안전손잡이 등), 복지시설 연계 제공

어르신 맞춤 프로그램 및 여가 서비스 지원

주거 및 돌봄서비스 통합 제공

👨‍👩‍👧 세대통합/중산층
부천 대장지구, 부모·자녀 세대 동거 가능한 설계

중산층(중위소득 최대 200%)까지 입주 가능 → 공공임대의 개방 확장

복합개발 방식으로 주거, 상업, 돌봄시설 통합

🏢 직장인·근로자
광명·울산 일자리형 주택은 입주자 직주환경 고려

공유오피스, 창업 인프라 등 창업 및 근로지원 제공

추진 일정 및 향후 전망
공모는 2025년 4월~5월 진행, 평가위원회 심사 완료 후 선정 확정
현재 사업계획 승인 및 설계 중이며, 입주는 2029~2030년 예정.

국비(주택도시기금) 최대 80% 지원, 나머지는 지자체·민간 추진 예정

 

 

의미 있는 변화: 공공임대 정책의 전환점
수요 맞춤형 공공주택 모델의 도입: 특정 계층 중심 설계로 서비스 결합.

지역 주도의 설계 자율화: 지역제안형 유형으로 지자체 참여 확대.

세대 통합 및 중산층 포함: 공공임대 대상 확대 및 세대 간 교류 기반 마련.

지역균형 발전과 주거복지 확대: 지방 인구 유출 방지 및 주거안정 제공.

 

입주 희망자를 위한 안내: 조건과 절차
입주 자격 및 소득요건: 지자체별 공고 발표 예정.

청년 특화주택은 주로 무주택 청년 대상, 일정 소득 이하 조건.

고령자복지주택은 65세 이상 무주택자, 복지시설 연계.

지역제안형, 특히 부천은 중산층까지 입주 가능 사례로 주목.

국토부 및 LH, 지자체 누리집에서 신청 절차 및 요건 확인 가능.

 

✅ 마무리하며: 특화주택, 주거복지의 새로운 이정표
이번 2025년 특화주택 사업은 단순한 주택 공급을 넘어
사회적 수요 기반의 맞춤형 공공주택 모델 개발과 지역사회 혁신을 동시에 실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국토부는 단지 개수보다 삶의 질을 고려한 설계 지향

지자체 역할 강화로 지역 특성 반영한 주거모델 확장

청년·고령층·중산층 모두 고려한 포용적 주거복지 실현